최근 발표된 연구에서 시중 생리대 29종 모두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는 소식은 많은 국민들에게 불안감을 안겨주었다. 일부는 “유기농”이라는 라벨을 달고도 세포 독성이 확인되면서 충격이 더했다. 식약처의 한 공무원으로서 이번 사안을 바라보며, 국민의 안일한 인식과 제도적 현실 사이의 간극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유기농에 대한 막연한 신뢰많은 소비자들은 “유기농”이라는 단어가 붙으면 자동으로 안전하다고 여긴다. 문제는 그 ‘유기농’이 커버에만 해당되는지, 흡수체까지 적용되는지조차 구분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흡수체가 SAP와 합성섬유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겉에 유기농 커버가 씌워져 있으면 소비자는 안심한다. 국민의 보편적 정서 속에서 ‘유기농=안전’이라는 단순화된 믿음이 자리 잡은 것이 현실이다.안전한 ..
최근 성균관대학교 연구팀이 발표한 결과는 소비자들에게 충격을 던졌다. 국내외에서 판매 중인 생리대 29종을 분석한 결과, 전 제품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고, 일부는 세포 독성까지 확인된 것이다. 특히 유기농을 표방한 제품들조차 예외가 아니었다.커버만 유기농, 진짜 유기농은 아니다오늘날 많은 생리대는 피부에 닿는 ‘커버’ 부분만 유기농 순면을 사용한다. 그러나 정작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체’에는 여전히 SAP(고분자 흡수체)와 합성섬유가 쓰인다. SAP는 뛰어난 흡수력 덕에 업계가 즐겨 사용하는 소재지만, 습기와 체온에 노출되면 화학 반응을 일으켜 피부 자극과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는 논문들이 다수 보고돼 있다. 결국 겉만 유기농일 뿐, 내부는 화학물질 덩어리인 셈이다.화학성 접착제, 눈에 보이..
연구 개요성균관대학교 박천권 교수 연구팀은 하와이대학교, 충북대학교와 함께 시중에서 판매되는 국내외 생리대 29종을 대상으로 화학적 안전성과 독성을 평가했습니다. 연구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미세플라스틱, 세포독성 등을 동시에 분석한 국제 공동연구였고, 결과는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에 게재됐습니다.주요 결과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모든 생리대에서 톨루엔이 0.09~2.79 μg/패드 수준 검출.산업 안전 기준치(37 mg·m⁻³)보다는 훨씬 낮지만, 장기간 피부 밀착 제품이라는 점에서 우려가 제기됨.반복 노출 시 피부·점막 자극 가능성이 있어 관리 필요.미세플라스틱 검출모든 제품에서 폴리프로필렌(PP) 기반 미세플라스틱이 확인됨.검출 수준: 패드당 6~115개.이는 소재..
성인이 된 후 여성은 매달 약 5일, 한 달에 20장 안팎, 1년에 240장, 그리고 평생 약 1만 장 이상의 생리대를 사용합니다. 이처럼 오랜 시간 피부와 맞닿는 물건은 흔치 않습니다. 화장품보다도, 옷보다도 더 오랜 시간 신체와 함께하는 것이 바로 생리대입니다. 그래서 생리대의 안전성은 단순한 소비재 차원이 아니라 여성 건강 전반과 직결된 중요한 문제입니다.생리대 사용, 얼마나 긴 시간일까많은 분들이 생리대를 사용하는 시간을 짧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하루 24시간 가까이 착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단순히 계산해도 평생 약 1만 장 이상이라는 숫자가 나오는데, 이는 생활 속에서 반복적으로 피부에 닿는 어떤 제품보다도 많습니다.이렇게 긴 시간을 함께하는 제품이라면 소재가 피부에 주는 영향을 ..
첫 생리는 모든 여성에게 특별한 사건입니다. 설레임과 두려움이 뒤섞여 찾아오는 그날, 손 안에 쥔 작은 생리대 한 장은 단순한 위생용품이 아니라 소녀가 여성이 되어가는 여정의 첫 동반자입니다.소녀의 몸에 일어난 첫 번째 신호사춘기 시절, 어느 날 속옷에 남은 빨간 흔적은 새로운 시작을 알립니다.그 순간 소녀는 호기심과 당황스러움, 부끄러움을 동시에 느끼며 엄마가 미리 챙겨준 작은 파우치를 열어봅니다. 생리대는 낯설고 어색하지만, 곧 자신의 몸을 지켜줄 안전망이 됩니다.생리대라는 비밀스러운 동반자체육 시간에 샐까 불안해 몇 번이나 바지를 확인하고, 수업 시간에도 의자에 흔적이 남지 않았을까 긴장합니다.친구에게 몰래 생리대를 빌리며 손을 맞잡던 순간, 그 작은 행동 속에서 **‘너도 나와 같은 길을 걷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