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학교 박천권 교수 연구팀은 하와이대학교, 충북대학교와 함께 시중에서 판매되는 국내외 생리대 29종을 대상으로 화학적 안전성과 독성을 평가했습니다. 연구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미세플라스틱, 세포독성 등을 동시에 분석한 국제 공동연구였고, 결과는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에 게재됐습니다.
박천권 교수는 “피부에 장시간 밀착되는 위생용품일수록 성분 공개와 안전성 검증이 필수”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결과는 공중보건 차원에서 규제 기준 마련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전망입니다.
Q. 지금 쓰는 생리대를 당장 바꿔야 하나요?
A. 연구 결과가 위험성을 단정한 것은 아니고, ‘잠재적 위해 가능성’을 보여준 것입니다. 다만 성분과 원재료가 투명하게 공개된 제품, 특히 유기농 인증 제품을 우선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Q. 미세플라스틱이 몸에 흡수되나요?
A. 현재까지 생리대를 통한 인체 흡수 연구는 제한적입니다. 다만 장시간 접촉 특성상 노출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예방적 차원에서 안전 관리가 필요합니다.
Q. 정부 차원의 대책은 나오나요?
A.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에 게재되었기 때문에 규제 기관과 보건 당국에서 안전 기준 재검토 및 관리 방안을 논의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번 연구는 생리대의 안전성을 둘러싼 논란에 과학적 근거를 제시한 첫 국제 공동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제품 선택 시 성분 공개, 인증 여부, 제조 방식 등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생리대안전성 #미세플라스틱 #세포독성 #여성건강 #소비자안전 #환경위해성 #유기농생리대 #화학물질안전 #위생용품 #공중보건